Cowboy Bebop
인천상륙작전 본문
인천 상륙 작전은 한국전쟁이 한창이던 1950년 9월 15일 UN군 사령관 더글러스 맥아더의 주도로 시작된 상륙작전이다. 이 작전에는 7만 5천여명의 병력과 261척의 해군 함정이 투입되었고, 대한민국의 서울 탈환으로 이어져 한국 전쟁 전반의 전세를 뒤집는 계기가 되었다. 작전 암호명은 크로마이트 작전(Operation Chromite)이었다.
인천 상륙 작전 다음 날의 인천항
맥아더는 1950년 6월 29일, 전쟁이 발발한지 4일 지난 뒤에 한강 방어선을 시찰하며 조선인민군의 후방에 상륙, 병참선을 차단하고 낙동강을 통해 반격에 들어간다는 기본 전략을 세웠다고 증언했다. 그러나 미국 해군은 인천항의 간만의 차가 평균 7미터로, 항구에 상륙하기 전에 월미도를 먼저 점령해야 하는데다 선단의 접안지역이 좁아 상륙 후 시가전이 불가피한 점 등의 이유로 상륙작전의 최악의 지형이라며 완강히 반대하였다. 해군의 일부 인사들이 작전 성공률이 5000대 1이라고 주장하며 격심하게 반대하였으나, 맥아더는 오히려 이런 난점이 적의 허점을 찌르는 기습이 될 수 있다며 인천상륙 주장을 굽히지 않았다. 결국 8월 28일 미국 합동참모본부로부터 승인을 얻었다.사실 인천상륙작전은 정말로 불가능에 가까운 작전이었다. 일단 조수간만의 차가 엄청나고, 또한 점령해야 하는 섬들도 많기 때문이다. 그러나 노르망디 상륙 작전처럼 맥아더는 한번더 한반도의 노르망디의 기적을 실현해 보려고 하였다.
상륙작전 지도
상륙작전은 동해에서 미군함 미주리호로 삼척 근처에서 상륙작전준비로 오인시키기 위한 공습을 시작했고, 서해에서는 서해 최적의 상륙지점으로 간주된 군산시에서도 상륙작전과 비슷한 수준의 포격을 수차례 실시하는 등의 기만작전으로 시작되었다. 9월 4일 상륙지점인 인천을 고립시키기 위한 공습이 시작되었으며, 상륙 당일인 9월 15일까지 지속되었다. 9월 15일에는 영덕군에 장사 상륙 작전이 실시되었다. 장사 상륙 작전에서 생존한 학도병들을 비롯한 많은 이들이 장사 상륙 작전이 9월 14일에 일어났다고 알고 있으나, 해군 기록에는 9월 15일에 장사 상륙 작전이 진행되었다고 적혀있다.
이와 동시에 맥아더는 군산에 상륙할 것이라는 거짓정보를 흘렸으며, 이 정보에 속아넘어간 인민군들은 군산의 방어를 강화하면서 다른 지역의 경계가 허술해졌다.
9월 15일, 작전개시일에 함정 206척, 7만여 명을 동원하여 영종도 근처에 집결, 작전이 시작되었다.
상륙 이틀 전인 1950년 9월 13일 월미도를 사전 폭격하는 미 해군
작전의 제 1단계는 월미도의 점령으로 시작되었다. 새벽 5시에 시작된 공격준비사격에 이어 미 제5해병연대의 3대대가 전차 9대를 앞세우고 월미도 전면에 상륙하였다. 월미도는 2시간만에 완전히 미군에 의해 장악되었다. 미군은 부상 7명의 경미한 피해를 입었으며, 인민군은 108명이 전사, 106명이 포로로 잡혔고, 네이팜탄 투하 및 기총소사로 민간인의 피해가 컸다.
제2단계는 국군 해병대 1연대와 육군 제17연대 미국 7 보병 사단, 1 해병 사단의 주도로 인천반도 공격으로 이어졌다. 인민군 제18사단과 인천의 경비병력의 틈새를 비집고 들어간 미국 제1해병사단과 국군 해병 제1연대는 성공적으로 조선인민군의 주력이 규합할 시간적 여유를 빼앗아버리며 인천 장악에 성공하였다.
인민군이 38선에서 낙동강 방어선까지 진격하는데 81일이 걸렸지만, 인천상륙 이후 아군이 38선까지 돌아오는데 15일밖에 안 걸렸으니, 적의 배후를 기습한 이 작전의 성과는 매우 컸다.
방파제를 넘는 미 해병대(1950년 9월 15일 오전 6시경, 인천, 신원미상의 종군기자 작품).
월미도에서 9월 10일부터 13일 아침까지의 공격으로 많은 민간인들이 죽었다. 신원이 확인된 희생자가 10명이고, 실종자와 신원을 확인할 수 없는 사람을 포함하면 실제 희생자가 100여 명에 이를 것으로 진실화해위원회는 추산했다.
결국 미군과 국군은 인천상륙에 성공하였고, 양쪽 (낙동강 방어선, 인천)에서 공격받게된 인민군은 크게 패하고 또 패해 결국 38선을 단 15일 만에 내주게 된다. (인천상륙작전은 UN군과 한국군의 1차 대공세의 시작으로 여겨진다.)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려 4대 왕 광종 (0) | 2016.08.09 |
---|---|
고려 태조의 아들, 고려 성종의 아버지 왕욱 (0) | 2016.08.09 |
조선 마지막 공주 - 덕혜옹주 (0) | 2016.07.14 |
조선 13대 왕 명종 (0) | 2016.07.10 |
밀풍군 (0) | 2016.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