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wboy Bebop
쉐보레 말리부 본문
구분 | 2.0ℓ LPG | 2.0ℓ 디젤 | 2.0ℓ 가솔린 | 2.4ℓ 가솔린 |
---|---|---|---|---|
전장 (mm) | 4,865 | |||
전폭 (mm) | 1,855 | |||
전고 (mm) | 1,465 | |||
축거 (mm) | 2,737 | |||
윤거 (전, mm) | 1,583 | |||
윤거 (후, mm) | 1,585 | |||
승차 정원 | 5명 | |||
변속기 | 자동 6단 | |||
서스펜션 (전/후) | 맥퍼슨 스트럿/4 링크 | |||
구동 형식 | 전륜 구동 | |||
엔진 형식 | LBN | A20DTH | LTD | LE9 |
연료 | LPG | 디젤 | 가솔린 | |
배기량 (cc) | 1,998 | 1,956 | 1,998 | 2,384 |
최고 출력 (ps/rpm) | 137/6,000 | 156/3,750 | 141/6,200 | 170/5,800 |
최대 토크 (kg*m/rpm) | 18.7/4,600 | 35.8/1,750~2,500 | 18.8/4,600 | 23.0/4,600 |
연비 (km/ℓ) | 8.7 (이후 도심 7.0/고속 10.7/복합 8.3으로 변경) | 도심 11.9/고속 15.7/복합 13.3 | 12.4 (이후 도심 9.8/고속 14.9/복합 11.6으로 변경) | 11.8 (이후 도심 9.2/고속 13.6/복합 10.8로 변경) |
쉐보레의 중형 세단. 1964년부터 50년 넘는 역사를 가진 GM의 중형차. 1세대 모델이 1964년에 출시된 상당히 오래된 브랜드이나, 중간에 생산이 14년간 끊어진 적이 있다. 4세대 모델이 1983년에 단종된 이후 한동안 라인업에서 제외되어 있다가 1997년부로 GM이 말리부의 이름을 부활시켜 지금에 이르고 있다. 83년도까지의 말리부는 후륜구동이었으나, 97년 부활 이후 전륜구동으로 바뀌었다.
간혹 국내 말리부 오너 중에 자기 차를 미국 수입차라고 부르는 사람들도 있는데, 한국 시장용 말리부의 생산은 대한민국 부평 한국GM 공장에서 이뤄진다. 한국GM 말리부 광고에서도 "말리부는 한국GM이 만듭니다"라는 문구가 꼭 강조되어 있다.
8세대(한국 기준 1세대) 말리부
대한민국에서는 쉐보레가 런칭된 해인 2011년 10월 19일에 비로소 첫 선을 보였고, 그해 11월 10일에 정식 판매에 들어갔다. 대한민국에서는 토스카의 단종으로 인해 한동안 비어 있었던 중형차 자리를 채웠으나, 세계적으로는 토스카의 후속 차종이 아닌 7세대 말리부의 후속 차종이다. 2011년에 나온 8세대부터 미국에 한정하지 않고, 유럽과 오스트레일리아 등에도 판매된다. 뒷 모습은 5세대 카마로의 디자인 큐에서 영감을 얻었다. 대한민국에서는 2.0ℓ LPG 엔진과 2.0ℓ 가솔린 엔진, 2.4ℓ 가솔린 엔진이 적용되며, 6단 자동변속기만 조합된다. 하지만 이 6단 자동변속기 역시 올란도와 크루즈처럼 결함 문제가 대두되었고, 2012년 9월 17일에 더욱 향상된 변속 응답성으로 주행 성능을 개선한 차세대 Gen Ⅱ 6단 자동변속기가 장착된2013년형이 출시되었다. 2.4ℓ 가솔린 엔진은 알페온의 직접 분사 방식이 아닌 일반적인 다중 분사 방식이다. 한국GM에서는 장애인용에만 2.0ℓ LPG 엔진을 장착하고, 택시는 출시하지 않기로 했다. 이를 대신해 올란도 LPG 택시를 시장에 투입했다. 2013년 11월 4일에는 사각 지대 경고 시스템, 후방 카메라 기능과 음성 인식 기능을 갖춘 마이 링크, 2열 에어 벤트 등이 더해진 2014년형이 선보였다. 2014년 1월에는 2.0ℓ LPG 엔진이 장착된 렌터카 및 장애인용 모델이 추가되었고, 같은 해 3월에는 일본 아이신 사의 6단 자동변속기가 조합된 독일 오펠 사의 2.0ℓ 승용 디젤 엔진이 더해졌다.
기본형 할로겐 테일램프.
상위급(또는 옵션) LED 테일램프.
디자인에 있어서는 많은 부분을 쉐보레 카마로에서 스포츠 룩을 따왔다고 주장한다....만 리어 테일램프 말고는 사실 전반적인 디자인이 카마로의 어떤 부분도 닮지 않았다.오히려 전 모델인 토스카를 돌려달라고 할 정도.
게다가 그 카마로 룩 테일램프라는 것이 안타깝게도 유상 옵션 품목이었다. 그리고 한국내수형에는 2년동안 아예 탑재조차 하지 않다가 2013년형부터 슬그머니 최상위급 전용 탑재 품목으로 등장시켰다.
대한민국 내수형 말리부
2000cc 미만 배기량이 세금제도상 중형차의 기준점이 되는 국내시장 실정에 맞게 4기통 2.0리터 엔진부터 라인업이 시작된다. 그런데... 140마력밖에 안되는 허약한 최대 출력 때문에 출시 전부터 논란이 일었다. 이는 20년 전 기아 콩코드의 것과 동일한 수준인데다, 140마력 정도는 2010년대 들어 1.6리터 소형~준중형차들도 가뿐히 뽑아 낸다는게 문제. 토크도 중형차 가운데 제일 낮은 18.8(그 약하다고 불리는 르노삼성 SM5의 토크도 19.8이다)이고,공차중량이 경쟁 차종 대비 100~200kg는 훨씬 무거운 1,530 kg나 되어 모두들 동력 성능을 걱정했다. 거기에 6단 자동변속기는 그 악명높다는 보령미션(...) 전작인 토스카보다도 낮은 출력으로 그랜저만한 몸뚱이를 끌어야 한다는 이야기라, 차체와 엔진의 조화가 맞겠냐는 것에 대해 의문이다. 그냥 직설적으로 말해서 전작인 토스카보다도 동력성능이 떨어진다. 때문에 업계 및 커뮤니티에서는 비슷한 홍역을 한번 치룬 크루즈의 사례를 그대로 답습할 것으로 내다봤다.
2.4리터 모델도 있기는 하지만, 이쪽도 170마력에 불과했던지라 쉐슬람들은 키배의 의지도 상실해 버렸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가장 큰 문제점은, 엔진이 커 봤자 대한민국에서 말리부나 쏘나타같은 중형차는 2,000cc를 초과하는 배기량의 사양이 거의 팔리지 않아 출시가 되었다가 단종되었으며 국산 중형차 중에서는 말리부만 2000cc가 넘는 2400cc 모델을 판매중이다. 국산 4사 중형차들 모두 2000cc 미만 배기량 사양의 점유율이 90%를 넘는 상황이니 제조사 입장에서 2000cc를 초과하는 사양은 판매에 아무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봐도 된다. 그 배기량을 넘으면 한참 더 고급스러운 준대형급 차종을을 사지 중형급은 안 산다. 그게 대한민국 소비자들의 특성이다.
출시 후 여러 시승기들을 보면, 아니나 다를까 더딘 가속이 답답하다는 평가가 대부분이다. 간담회에 참여했던 한 자동차 블로거의 글에 따르면 문제점들을 지적하는 참가자들에게 한국GM에서는 '적응하면 괜찮다' '실생활에 별 문제가 없을 것 같다'는 답변으로 일관했다고 한다. 또는 성능에 대한 마음을 포기하면 괜찮을 것이라고 했다.
게다가 말리부의 대한민국 출시 초기에는 상하이GM에서 만든, 즉 중국산 엔진을 썼다는 사실이 밝혀져 홍역을 치르기도 했다. 더 큰 문제는 올란도에 장착되는 2.0리터 LPG 엔진도 중국산이 들어왔었다는 것. 2012년 4월부터 2.0리터 엔진은 부평공장에서 제작 중이고 2012년 4분기에는 2.4리터 엔진과 올란도의 LPG 엔진도 대한민국에서 제작하고 있다.
참고로 대부분 말리부와 토스카를 둘 다 타본 사람들의 증언에 의하면 말리부는 실내공간이 토스카보다 좁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