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wboy Bebop
아이폰 6 본문
애플이 2014년 9월 9일(한국 시각 2014년 9월 10일)에 공개한 8번째 iOS 기반 스마트폰.
- 사양이 두 가지 이상으로 나뉘는 경우, 한국 내수용 사양에 해당되는 부분에 노란색 바탕으로 표기.
프로세서 | Apple A8 APL1011 SoC. Apple Cyclone MP2 1.4 GHz CPU, PowerVR GX6450 -- MHz GPU | ||
메모리 | 1 GB LPDDR3 SDRAM, 16 / 64 / 128 GB 내장 메모리 | ||
디스플레이 | 4.7인치 1334 x 750 RGB 서브픽셀 방식의 Retina HD Display (IPS TFT-LCD 방식 & 326 ppi) 멀티터치 지원 정전식 터치 스크린 | ||
네트 워크 | 기본 | LTE-2CA Cat.4, HSPA+ 42Mbps, HSDPA & HSUPA & UMTS, GSM & EDGE, Wi-Fi 802.11a/b/g/n/ac, 블루투스 4.0→4.2, NFC | |
선택 | TD-LTE, TD-SCDMA | CDMA & EV-DO Rev. A | |
카메라 | 전면 120만 화소, 후면 800만 화소 위상차 검출 AF 및 True Tone LED 플래시 | ||
배터리 | 내장형 Li-Ion 1810 mAh | ||
운영체제 | iOS 8.0 → 8.4 → 9.2 | ||
규격 | 67 x 138.1 x 6.9 mm, 129 g | ||
색상 | 스페이스 그레이, 실버, 골드 | ||
기타 | VoLTE[3] 및 Wideband Audio 지원, 에어리어 방식 지문인식 Touch ID 지원, 모션 인식 프로세서 M8 탑재 |
애플의 2014년도형 아이폰이자 아이폰 5s의 후속작이다.
전반적인 디자인은 아이팟 터치 5세대와 비슷하게 라운딩한 디자인을 가지고 있으며 전작인 아이폰 5s가 가졌던 디자인적 요소는 찾기 어렵다. 전면은 라운딩 처리가 되어있는 강화유리, 후면 역시 라운딩 처리가 되어있는 알루미늄 재질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카툭튀'와 '절연 테이프'처럼 보이는 외관 때문에 디자인의 호불호가 갈리고 있다. 카메라의 경우, 모듈의 두께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고, 카메라 품질까지 포기하면서 모듈 경량화를 할 수 없기에 나름대로 절충한 것으로 보인다. 절연 테이프 디자인이라 불리는 안테나 라인의 경우, 아이폰 5와 아이폰 5s를 볼 때 이렇게 선이 두드러지지 않았는데, 이는 안테나 선을 기점으로 위아래는 유리로 처리하고 투톤 처리를 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번에는 이렇게 처리하지 않고 완전 유니바디 디자인을 선택했기 때문에 부각이 된 것이다.[4] 기본 색상은 전작과 동일한 스페이스 그레이, 실버, 골드로 총 3종이다.
AP로 Apple A8 APL1011을 사용한다. 64-bit를 지원하는 Apple Cyclone 듀얼코어 CPU와 이매지네이션 테크놀러지의 PowerVR GX6450 GPU를 사용한다. TSMC 20nm SoC 공정에서 생산이 되는 최초의 모바일 AP이자 애플 A 시리즈 중 최초로 20nm 공정에서 생산이 된 모바일 AP이다. 키노트 당시 아이폰 5s의 Apple A7과 비교할 때 CPU 성능은 25%, GPU 성능은 50%가 향상되었다고 한다. 또한, 애플 A 시리즈 중 최초로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ISP)가 AP 내에 통합되었다고 한다.
RAM은 LPDDR3 SDRAM 방식이며 1 GB다. 내장 메모리는 16 GB 모델, 64 GB 모델 그리고 128 GB 모델로 나뉘어지며 32 GB 모델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리고 128 GB가 기본 용량으로 사용되는 최초의 아이폰 중 하나다. 해상도가 높은데 RAM은 그대로라서 펌웨어 업데이트에 따라 버벅임이 생길 것이 우려된다 그런데, 사용한 낸드 플래시에 상대적으로 저성능인 TLC 방식의 낸드 플래시가 동일 용량인 MLC 방식의 낸드 플래시가 혼용되었고, 심지어 TLC 방식의 낸드 플래시에는 캐시 메모리가 적거나 아예 없기 때문에 안그래도 부족한 RAM 일부를 캐시로 유용하고 있다고 한다.
디스플레이는 4.7인치 1334 x 750 해상도를 지원하며 16:9 비율에 근접한 화면 비율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패널은 IPS TFT-LCD 계열의 Retina HD Display를 사용하며 픽셀 배치의 경우 RGB 서브픽셀 방식을 사용하나, 듀얼 도메인 픽셀 기술이 적용되었다고 한다. 그냥 RGB라고 이해하면 된다 기존 Retina Display에서 패널 구조가 개선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베젤이 조금 줄긴 했지만 디스플레이가 커지면서 기기 자체의 면적도 더욱 커졌다. 이 때문에 손이 작은 사람의 경우 한손 조작으로 쿼티 키보드 타이핑을 하기가 까다로워졌다. 이렇게 되면서 기존에 기기 상단 우측에 있던 전원버튼도 갤럭시 시리즈와 마찬가지로 기기 우측 상단으로 옮겨졌다. 따라서 기기 상단에는 아무 것도 없다. 디스플레이는 가장자리에 곡면을 주었다. 따라서 액정보호필름이나 강화유리를 부착하면 전면부를 완전히 덮지 못하고 여백이 생기기도 한다. 이걸로도 부족했는지 곡면부까지 덮어주는 보호필름이나 강화유리제품이 나오기도 하였다.
지원 LTE 레벨은 Cat.4로 다운로드 최대 150 Mbps, 업로드 최대 50 Mbps를 보장하며 20 MHz 대역폭의 광대역이 구축된 LTE에서 정상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미국을 제외한 전 지역에서 LTE-FDD/TDD를 지원한다.또한, 2 Band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지원하며 VoLTE를 공식적으로 지원한다. 또한, NFC 칩을 탑재하기는 하였으나 Apple Pay 서비스를 위해서만 NFC를 사용하고 스피커 페어링 등의 다른 용도로는 사용할 수 없다.
배터리 용량은 내장형 1810 mAh이다. 전작이 1570 mAh인 것과 기기 두께가 약 0.7mm 정도 얇아진 것을 고려할 때 더도말고 덜도말고 딱 기기의 크기가 커진 것과 비례하게 용량이 증가했다. 이는 삼성전자의 갤럭시 알파와 동급인 용량이다.[8]
후면 카메라는 800만 화소에 위상차 검출 AF를 지원하는 카메라로 이는 아이폰 6 Plus와 동일한 센서다. F/2.2의 조리개 밝기를 가지고 있으며 아이폰 5s부터 도입된 True Tone LED 플래시를 가지고 있다. HD 720p 240 fps까지 촬영이 가능해져서 더욱 느린 슬로우 모션 촬영이 가능해졌다.
에어리어 방식의 지문인식 모듈, 총칭 'Touch ID'가 아이폰 5s와 동일하게 전면 홈 버튼에 내장되어 있다. 또한, 모션 인식 프로세서인 M8 프로세서가 내장되어 있다.
iOS 8을 기본으로 탑재했다. 공개 당시 펌웨어 버전은 8.0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