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wboy Bebop

갤럭시 노트5 본문

카테고리 없음

갤럭시 노트5

카우보이 비밥 2016. 3. 6. 21:08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가 2015년 8월 13일(한국 시각 2015년 8월 14일)에 공개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갤럭시 노트 시리즈의 다섯 번째 제품이다. 개발 코드네임은 Noble.


사양

  • 사양이 두 가지 이상으로 나뉘는 경우, 한국 내수용 사양에 해당되는 부분에 노란색 바탕으로 표기.
프로세서삼성 엑시노스 7420 SoCARM big.LITTLE↓, ARM Mali-T760 MP8 772 MHz GPU
ARM Cortex-A57 MP4 2.1 GHz CPU + ARM Cortex-A53 MP4 1.5 GHz CPU
메모리4 GB LPDDR4 SDRAM, 32 / 64 / 128 GB UFS 2.0 규격 내장 메모리
디스플레이5.7인치 WQHD(2560 x 1440) 다이아몬드 형태 RG-BG 펜타일 서브픽셀 방식의 삼성D Quad HD Super AMOLED (518 ppi)
멀티터치 지원 정전식 터치 스크린, 고릴라 글래스 4
네트
워크
기본HSPA+ 42Mbps, HSDPA & HSUPA & UMTSGSM & EDGEWi-Fi 802.11a/b/g/n/ac, 블루투스 4.2+LE, NFC, ANT+
선택LTE-3CA Cat.9LTE-3CA Cat.6TD-LTETD-SCDMACDMA & EV-DO Rev. A
카메라전면 500만 화소, 후면 OIS+VDIS 기술 탑재 1,600만 화소 AF 트래킹 지원 위상차 검출 AF 및 LED 플래시
배터리내장형 Li-lon 3000 mAh
운영체제안드로이드 5.1 (Lollipop) → 6.0 (Marshmallow)
삼성 터치위즈 네이쳐 UX 4.0
규격76.1 x 153.2 x 7.6 mm, 171 g
색상[1]블랙 사파이어화이트 펄골드 플래티넘실버 티타늄, 핑크 골드
기타국제VoLTE 및 Wideband Audio 지원, 2048 필압(레벨) 틸트 인식 S펜 지원
무선충전 Qi 규격 및 PMA 규격 지원
에어리어 방식 지문인식 지원, 심장 박동 인식 센서 내장
일부 모델 듀얼심 지원
지상파 DMB 및 고화질 스마트 DMB 지원
  • 4G LTE-FDD Band 1, 2, 3, 5, 7, 8, 17, 20, 26 / 4G LTE-TDD Band 38, 39, 41
  • 3G WCDMA 850, 1900, 2100 MHz
  • 2G GSM 900, 1800, 1900 MHz



2011년 갤럭시 노트를 시작으로, 매해 하반기에 공개된 삼성전자의 안드로이드 S펜 지원 특수목적 하이엔드 스마트폰 시리즈인 갤럭시 노트 시리즈의 2015년도형 모델이자 다섯 번째 모델이다. 2015년 8월 13일에 갤럭시 S6 엣지의 대화면 파생 모델인 갤럭시 S6 엣지+와 같이 삼성 갤럭시 언팩 2015에서 공개되었다.

전반적인 디자인은 메탈과 유리 소재를 사용하여 갤럭시 S6 & 갤럭시 S6 엣지와 패밀리룩을 이루고 있다. 다만, 엣지 디자인을 엣지 디스플레이를 탑재해 전면에 구현한 것이 아니라 후면 부분에 구현했기 때문에 샤오미의 Mi Note와 비슷해보인다는 주장이 존재한다. 기본 색상은 블랙 사파이어, 화이트 펄, 골드 플래티넘, 실버 티타늄으로 총 4종이다.

사양은 우선 AP로 갤럭시 S6 & 갤럭시 S6 엣지와 동일한 삼성 엑시노스 7420을 사용한다. ARM Cortex-A57 쿼드코어 CPU와 ARM Cortex-A53 쿼드코어 CPU에 big.LITTLE 솔루션을 적용한 HMP 모드 지원 옥타코어 CPU와 ARM Mali-T760 옥타코어 GPU를 사용한다. 이는 삼성 엑시노스 4412를 사용한 갤럭시 노트 II이후로 오랫만에 같은 해 출시된 갤럭시 S 시리즈와 동일한 AP를 탑재했다. 당초, 삼성전자는 (가칭) 삼성 엑시노스 7422라든가 (가칭) 삼성 엑시노스 7430이라든가 등 삼성 엑시노스 7420의 후속작이라기 보다는 개선판을 탑재할 것이라는 뉘앙스를 보였으나, 퀄컴 스냅드래곤 810 MSM8994가 촉발시킨 경쟁사의 플래그십 스마트폰 문제가 장기화될 것으로 보이자 숨고르기에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

RAM은 LPDDR4 SDRAM 방식이며 4 GB다. 이는 삼성전자의 모바일 기기 중 갤럭시 S6 엣지+와 같이 최초로 4 GB RAM을 탑재한 것이다. 내장 메모리는 32 GB와 64 GB로 나뉘어지며 갤럭시 S6 & 갤럭시 S6 엣지와 동일하게 낸드 플래시를 eMMC 규격이 아닌 UFS 2.0 규격을 사용한다. 하지만, 갤럭시 S6 & 갤럭시 S6 엣지와 달리, 128 GB 옵션이 기본적으로 존재하지 않고, 갤럭시 S6 & 갤럭시 S6 엣지와 같이 micro SD 카드 슬롯이 존재하지 않아 용량 확장이 불가능하다. micro SD 카드 슬롯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이 갤럭시 S6 & 갤럭시 S6 엣지이 가진 가장 큰 단점 중 하나였기에 개선되기를 바란 소비자들이 많았지만, 매우 당연하게 기대를 걷어차듯 갤럭시 S6 & 갤럭시 S6 엣지의 컨셉을 이어가게 되었다.

디스플레이는 5.7인치 WQHD 해상도를 지원하며 패널은 Quad HD Super AMOLED 디스플레이를 사용한다. 이는 전작인 갤럭시 노트4와 동일한 크기이며 픽셀 배열은 다이아몬드 형태 RG-BG 펜타일 서브픽셀 방식이다. 계측 결과, 최대 밝기는 약 861 nits이며 약 21%의 전력 소모 개선을 이루었다고 한다.

지원 이동통신의 경우, LTE Cat.9와 LTE Cat.6 모델이 있다. 우선, 업로드 속도는 최대 50 Mbps로 통일[2]되어 있으나, 다운로드 속도는 Cat.9가 450 Mbps, Cat.6가 300 Mbps로 최대 속도가 잡혀져있다. 3 Band 캐리어 어그리게이션과 TD-LTE의 경우 서비스하는 이동통신사에 따라 추가적으로 지원하며, VoLTE를 지원한다. 이렇게 나눠지게된 원인으로는 기본적으로 통신 모뎀 솔루션의 경우, LTE Cat.9 급을 지원하는 삼성 엑시노스 모뎀 333을 사용하나, 일부 이동통신사의 특수한 이동통신을 지원하기 위해 LTE Cat.6 급을 지원하는 퀄컴 스냅드래곤 X7 LTE 모뎀을 혼용하기 때문이다.

배터리 용량은 내장형 3000 mAh이다. 전작인 갤럭시 노트4가 착탈식 3220 mAh이었던 것을 고려하면 오히려 약 220 mAh 정도 적어졌다. 게다가 개발 당시에는 4100 mAh를 가진 시료도 있었다는 주장도 존재해 적은 배터리 용량에 대해 비판하는 목소리가 크다.[5] 배터리는 전력 소모율과 가장 큰 연관이 있는데, 전작인 갤럭시 노트4의 모바일 AP인 삼성 엑시노스 7 Octa (5433)의 CPU 풀로드 전력은 7W인 반면, 삼성 엑시노스 7420은 5W 수준이다. GPU는 ARM Mali-T760을 사용하나 쉐이더 코어 구성과 미세 공정 부분에서 차이가 있어 50% 성능이 향상되었다. 전력 대 성능비를 삼성 엑시노스 7 Octa (5433)과 비교하면 동일 클럭일 때 CPU는 소비전력의 55% 수준이며 GPU는 동일 성능에서의 소비전력이 맨하탄에서는 약 56%, 티렉스에서는 약 60% 수준이라고 한다. 즉, 동일한 작업을 돌릴 때 모바일 AP상에서 전력 사용이 약 절반 수준으로 내려간 셈이다.[6] 거기다, AMOLED역시 지속적인 소자 개선 등을 통해 전력 소모가 개선되고 있고 낸드 플래시도 eMMC 규격이 아닌 UFS 2.0을 탑재했기 때문에 전작보다 배터리 용량이 줄었다해서 무조건 배터리 소모율이 좋지 않을 것이라고 하기에는 어렵다.[7] 일단, 삼성전자에서는 갤럭시 S6 & 갤럭시 S6 엣지와 마찬가지로 자기유도 방식인 Qi 규격과 자기유도 방식이나, 최근 자기공진 방식의 A4WP와 호환성을 강화한 PMA 규격을 동시에 지원하는 무선충전 기술과 급속충전 기술을 앞세운 상황이다. 거기에 고속 무선충전 기술까지 도입해서 2시간이면 100% 충전되는 효율을 가졌다고 밝히고 있다.

후면 카메라로는 1,600만 화소급으로 동일한 삼성전자 시스템 LSI 사업부 아이소셀 S5K2P2 센서와 소니 엑스모어 IMX240 센서를 혼용하며 이는, 전작인 갤럭시 노트4를 넘어 갤럭시 S5부터 사용된 센서이다. 하지만, 카메라 모듈 부분에서 갤럭시 S6 & 갤럭시 S6 엣지와 같이 조리개 밝기가 F/1.9로 세팅되었기에 사실상 갤럭시 S6 & 갤럭시 S6 엣지와 동일한 후면 카메라 사양을 가졌다고 할 수 있다. 이외에도 손떨림 방지를 위한 OIS 모듈에 동영상 촬영 시 흔들림을 방지하는 VDIS 기술을 동시에 탑재하였다. 전면 카메라 역시 삼성전자 시스템 LSI 사업부 S5K4E6 센서의 500만 화소 카메라를 사용하며 전작인 갤럭시 노트4와 마찬가지로 조리개 밝기가 F/1.9로 유지되었다.

또한, 심장 박동 인식 센서가 후면 기기 우측에 존재하는 LED 플래시 바로 아래에 있으며 갤럭시 알파와 비슷하게 세로 모양으로 나열되어 있다.

생체 인식 기술의 경우 지문인식이 들어가며 애플의 아이폰 시리즈나 갤럭시 S6 & 갤럭시 S6 엣지와 같은 에어리어 방식이다. 지문인식 센서는 전작과 동일한 홈 버튼에 내장된다.

갤럭시 노트 시리즈의 아이덴티티인 S펜의 경우 전작인 갤럭시 노트4와 동일한 2048 레벨의 필압과 와콤에서도 상위 기종에서 지원하는 펜의 기울기에 따라 선 굵기가 바뀌는 기술인 틸트를 지원한다. 사양 부분에서는 큰 차이가 없으나, S펜 수납 부분에서 차이점이 존재하는데, 기존의 홈을 이용해 손톱을 넣어 S펜을 뽑아내는 방식에서 샤프펜슬처럼 펜 끝을 살짝 눌러서 사출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또한, S펜 사출 시 디스플레이가 꺼진 상태에서도 자동으로 S메모를 남길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되면서 메모 기능의 편의성 극대화를 꾀했다.

안드로이드 5.1 롤리팝을 기본으로 탑재했다. 공개 당시 펌웨어 버전은 5.1.1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