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wboy Bebop

Anonymous(어나니머스) 본문

이슈

Anonymous(어나니머스)

카우보이 비밥 2016. 3. 27. 17:56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전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해커 그룹
사이버 자경단의 대표적인 예시


어나니머스는 2003년 4chan에서 유래한 해커집단으로, 현재 전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해커그룹중 하나로 손꼽힌다. 

어나니머스의 상징인 가이 포크스 가면은 아나키즘을 상징한다. 이들은 아나키즘과 정보의 자유를 표방함과 동시에 정보를 탄압하는 정부나 고위층에 대한 반대, 인터넷상의 자유와 사회정의, 그리고 법의 투명성을 주장하고 있다. 이 외에도 사회의 정의를 표방하며, 사회에서 벌어지고 있는 성별, 인종, 성적취향등에 대한 차별등과도 맞서싸우기도 한다.

사실 예전에는 이 어나니머스라는 집단 이름은 4chan의 '익명'이란 뜻의 기본 설정 이름으로, 집단의 이름으로 쓰이기 전까지는 인칭이나 호칭에 불과했다. 그런데 4chan의 유저들이 레이드나 신상털이를 하며 유저들이 We are Anonymous 드립을 치기 시작하며 단체명인 것 처럼 굳어진 것이다. 처음에는 본진인 4chan에서도 나쁘지 않게 봤지만, 누구나 "포크스 가면을 쓰니까 인터넷 전가가 된 기분! LOL!" 라고 끼어들며 관심병걸린 집단의 이미지가 생겼고, 무슨 일만 터지면 레이드니 신상털이니 삽질을 해대니... 이미지는 쭉쭉 내려갔다. 그 정점을 찍은 것은 PSN 해킹 사태 때 소니를 응징하겠다며 한 '작전'이었다. 이 '작전'에는 소수의 인원만이 참가했으며, 시위활동도 버벅대는 수준에 불과했으며 제 3자들은 이들을 혹평했다. NCSI(코찰청)랑 비슷한 존재였었다. 신상털기와 해킹이라는 방식의 차이는 있지만.

그런데 이 일이 재미있다고 생각한 잉여들은 PSN 사태 이후에는 진짜 Anonymous를 만들면서 4chan과는 독립하게 되었고, 지금은 그저 신상털기 밖에 못하는 NCSI와 동급으로 취급하기에는 조금 무리가 있다. 하지만 중국홍객연맹 수준의 범국가적인 해킹단체라고 하기에는 기존처럼 특정단체가 아니면서 Anonymous의 이름을 달고 활동하는 쪽도 아직 많으므로 원래의 의미는 그리 퇴색하지 않았다. 이 개념이 메스컴이나 인터넷상에 알려지면서 이전까진 별 신경도 안쓰고 있다가 일부러 저 이름 달고 터는 인간들도 많아졌으니...

4chan에서 시작한 당초 어나니머스는 일종의 트롤링 잉여집단이었으나, 4chan으로 부터 독립하며 진짜 해커 그룹에 준하는 수준에까지 오게된 현재는 트롤링 집단이 아닌 대중들과 공감하며 진정한 세계의 정의를 표방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의 어나니머스는 4chan 시절의 어나니머스와 지금의 어나니머스를 구별해서 서로 다른 존재라 취급하기도 한다. 정작 4chan과 사이가 안좋은 이유도 이 이유가 한 몫 한다고 볼 수 있다.

어나니머스는 해킹을 소재로한 여러 창작물에 이따금씩 인용, 모티브 되기도 한다. 어나니머스의 표어인 'Knowledge is free'은 네이버 웹툰인 국립자유경제고등학교 세실고나 씬커에서 인용되기도 하였으며 어나니머스는 비디오 게임 와치독의 해커 집단 '데드섹'의 모티브가 되기도 하였다. (다만 '데드섹'이란 이름 자체는 LulzSec에서 따왔다. 하지만 애초에 LulzSec도 어나니머스에서 파생한 조직이니 어나니머스가 전신이라고 봐도 된다.)


2012년 타임지가 선정한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100인 중 1위로 손꼽혔다. 

Top Trending 에서 선정한 '세상에서 가장 위험한 해커 5 (5 Most Dangerous Hackers Of All Time)' 중 하나로 뽑히기도 했다.


    블랙 성향? 화이트 성향?

    이들은 무정부 주의를 주장하며 정부, FBI, CSI를 해킹하여 기밀 문서를 대중에게 공개하거나, 북한, KKK,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IS) 등 공공의 적을 공격하는 등의 행보를 이어오고 있다. 어나니머스는 오로지 집단, 조직만을 공격 타겟으로 삼으며 개인이나 시민을 공격하지 않기에 스스로를 로빈 후드(한국으로 치면 홍길동)에 준하는 정의로운 집단이라 생각하고 있다. 이에 대해 동의하는 사람도 있지만 호불호가 갈리기도 하는 편. 물론 정치인들이나 정부의 부패를 까발리는 업적도 많이 남겨 어나니머스의 옹호자가 더 많은 편이다. 사실 어나니머스가 현존하는 해커그룹중에서는 그나마 가장 대중들의 옹호를 많이 받는 집단이기도하다. 중국홍객연맹같은 다른 해커그룹과는 다르게 본인들의 이득이 아닌 정보의 자유와 세계의 평화를 표방하기 때문. 물론 해킹 자체가 범죄행위긴 하지만 후술할 어나니머스 구조의 특성상 어나니머스를 범죄 조직이라 보기에는 약간의 무리가있다.

    일단, 불법적인 공격을 시도한 사례로만 보면 블랙 성향이라고 할수 있지만, 어느정도는 대중의 의식과 공감을 할 수 있는 요소등을 품어 화이트 성향에 가깝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어나니머스는 '블랙 해커'도 '화이트 해커'도 아닌 '핵티비스트 그레이 해커' 내지는 자경단과 비슷하게 보는 시선도 많다. 어나니머스 스스로도 '인터넷상의 자경단'을 표방하고 있기도 하다.

    2015년 파리 테러사건이 발생했을때 어나니머스 측에서 직접 파리 테러 사건의 주범인 IS에게 복수의 선전포고를 하며, "프랑스인들은 당신들보다 더 강하고, 이번 비극을 겪고 나서 한층 강해질 것" 이라고 말하거나 트위터를 통해 파리를 추모하는 등 전반적으로 화이트 성향의 행보도 많이 보이고있다.

    주로 까야 제맛인 것들을 까는 것을 매우 즐기지만 간혹 이해할 수 없는 일을 하기도 한다. 하지만 자신들이 아주 정의롭다고 믿고 있는 듯 하다. 미국의 최고 병맛 교회인 웨스트보로 침례교회를 까는거나(직접 털지는 않았고 경고만 줬다), 네오 나치나 극우주의자들 털거나, 특히 2011년 10월 어노니머스 네트워크 기반의 딥웹 아동 포르노 사이트 40개를 털고 그 사이트를 이용한 1500명의 신상을 다 까발린 뒤 FBI와 인터폴에게 뒤를 맡긴 "Operation DarkNet" 작전을 펼쳤다.

    물론 아무래도 본진이 4chan 이라서 가끔씩 이해할 수 없는 똘짓도 하긴 한다. 예를들어 소니를 엿맥이거나 만우절 기념이라고 deadmau5 트위터를 해킹한다던가(…)

    결론부터 말하자면 어나니머스는 블랙 해커도 화이트 해커도 아닌 핵티비즘 성향의 그레이 해커라고 볼 수 있다.


     구조

    어나니머스는 '가입'하는 방식이 아닌 '어나니머스를 표방한 자는 모두 어나니머스'라는 개념이다. 그리고 이러한 어나니머스의 표방자, 즉 어나니머스의 일원들은 '어논 (Anon)'이라고 불린다. 따라서 공식적인 어나니머스는 없으며 공식적인 어나니머스의 리더도 없다. 개인으로 혼자만 활동하는 어나니머스, 일부 사람들끼리 소규모팀으로 활동하는 어나니머스, 많은 사람들끼리 대규모팀으로 활동하는 어나니머스 등등 수없이 많고 다양한 어나니머스들이 전세계 곳곳에 있는 것이다. 어나니머스 로고에서 얼굴이 ? 로 되어있는 부분은 바로 리더가 없다는 어나니머스의 자유로운 구조를 상징한다. 즉 어나니머스 라는 개념 자체는 그룹명 이라기 보단 그 네임드 자체라고 할 수 있겠다. '어나니머스'의 본래 의미인 '익명'이라는 뜻과 잘 어울리는 의미인 셈.

    다만 어나니머스를 표방하기 위해선 '해킹 능력과 경험을 가지고 있을 것', '어나니머스와 같은 사상을 가지고 행동할 것'이라는 조건을 지켜야 한다. 따라서 어나니머스를 표방한 주제에 해킹 능력은 쥐뿔도 없다던가, 해킹 능력은 있으나 어나니머스의 사상(아나키즘과 정보의 자유)에 반하는 행동을 하거나, 개인의 사리사욕을 위해 해킹을 남용하는 사람은 어나니머스라고 볼 수 없으며 오히려 어나니머스의 사칭자이다.

    이러한 구조는 리더의 부패 장악이 존재할 수 없으며 어나니머스 표방자들에게 자유로운 환경을 제공하고 어나니머스의 영향력을 크게 키우는데 일조했다는 장점이 있다. 무엇보다 어나니머스가 절대로 사라질 수 없는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반대로 공식적인 어나니머스와 리더가 없다는 점은 단점을 야기하기도 했는데 공식적인 어나니머스가 없기에 사실상 어나니머스 표방자와 사칭자는 본질적으로는 다를 것이 없다는 문제나 어나니머스의 사상이나 공격 대상에 대한 이렇다할 명확한 규정이나 기준이 없다는 문제점들이 발생한다. 어나니머스의 공격 대상에 대해서는 '깔 건덕지가 있으면 니 꼴리는 대로 공격해라'라는 식이지만 이 깔 건덕지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애매한 것이 문제이다. 물론 북한, KKK,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IS) 등 누가봐도 공공의 적인 경우는 예외지만.

    이러한 구조 때문에 어나니머스 공격 사례를 어디서부터 인정해야 하는지 기준의 모호함도 계속 지적받고 있다. '어나니머스 공격 사례'라고 알려진 것들도 사실상 서로 다른 어나니머스팀에 의해서 발생한 것이고 '어나니머스 표방자'와 '어나니머스 사칭자'의 기준이 명확하지 않은 이상 어디까지가 어나니머스라고 단정할 수 있는지 애매한 부분이다. 이때문에 제법 팔로워가 많은 어나니머스 트위터에서는 어디까지가 어나니머스라고 볼 수 있고 어디까지가 아닌지 지속적으로 뉴스하면서 선을 긋고 있다. 물론 그마저도 공식적인 어나니머스도 아니고 이런 방식을 표방하는 어나니머스 그룹이 한둘도 아니기에 그마저도 애매하다.


    대표적인 공격사례

    연표

    • 2006~2007년
      하보 인흑남캐(...) 레이드
      핼 터너 습격
      크리스 포캔드 체포
    • 2008년
      프로젝트 채놀로지
      간질재단 포럼 침공
      SOHH와 AllHipHop 사이트 무차별 테러
    • 2009년
      "뒷담화 없애기(No Cussing)" 클럽
      오퍼레이션 "디저리디"
    • 2010년
      오퍼레이션 티트스톰
      오리건 다과회 습격
      오퍼레이션 페이백/릭스핀
    • 2011년
      피네 게일 정당 사이트 공격
      아랍 민주화 운동 관련
      HBGary 보안회사 공격
      웨스트보로 침례교회 협박미수
      2011 뱅크 오브 아메리카 해킹
      오퍼레이션 #OpSony
      스페인 Anonymous 멤버 체포
      2011 Cyberindian 반부패 운동 지원
      오퍼레이션 #Orlando
      오퍼레이션 인티파다
      오퍼레이션 #AntiSec
      오퍼레이션 Facebook
      OWS 시위 참가(가면 쓰고...)
      오퍼레이션 #DarkNet
      존 파이크 중위 공격
      스트래트포 공격
      멕시코 갱단 로스 제타스 공격
    • 2012년
      나이지리아 점거
      오퍼레이션 #MegaUpload
      폴란드 혁명
    • 2013년
      오퍼레이션 #OpNorthKorea
      우리민족끼리 해킹
      북한 전산망 DDos공격
      우리민족끼리 회원 신상공개
      6.25 북한사이트 공격 및 고위급 간부 13인 명단 공개
      북한의 백본망과 IP공개
      다른 자료는 wikileaks에 전달중이라고 한다
    • 2014년
      만우절 deadmau5 해킹(...)
      4월 7일 이스라엘 인터넷 (주로 이스라엘 정부 쪽) 공격.
    • 2015년
      #OpIsrael2. 이스라엘 인터넷 폭격 시즌 2.
      IS의 트위터를 털기도 하였다.
      #OpIsis 파리 테러사건의 주범인 ISIS와의 전쟁을 대대적으로 선포.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헬조선이란?  (0) 2016.03.28
    N포세대 뜻  (0) 2016.03.28
    고려인이란?  (0) 2016.03.23
    브뤼셀 테러 사건  (0) 2016.03.23
    지카 바이러스  (0) 2016.03.22